오늘날 한국은 전쟁의 폐허를 딛고 일어나 짧은 기간에 경제성장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달성한, 드문 나라로 인정받고 있다. 물론 현재 한국의 경제발전이나 민주주의의 수준이 세계 최고 수준은 아니고, 또한 최근의 경제상황이나 민주주의의 현실에 대해 비판적 견해도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한국의 정치적 경제적 성공이라는 명제···
1948년 4.3 수난을 겪은 제주지역 시민과 학생들의 이후의 민주화 운동의 통사를 기록한 최초의 기록물이다. 1960년 4월 혁명을 계기로 시작된 제주 지역의 민주화 운동은 전국적인 흐름에 동참하면서도 지역의 여건에 터전을 둔 특수성을 내포하고 있다. 책은 크게 4부로 구성해 1부에서는 4.3 발발 이후부터 4월혁명, 박정희 정권으로 ···
농민이 된 신부 정호경 - 정호경 신부를 다시 만나다
우리시대, 귀감을 얻다
멘토가 유행하기 전, 존경하고 따르는 사람을 일컫는 말은 스승이나 귀감이었다. 귀감(龜鑑)이란 말은 어려운 한자어 때문이기도 하지만, 귀감이 될 만한 인물이나 행동이 찾기 어려워진 탓에 쓰임도 줄었을 것이다. 스승이라는 말이 소원해진 것도 사표의 실종과 연관 있을 것이다.
···
사회경제 민주주의의 경제학- 이론과 경험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의 다양한 모색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갖가지 모순들로 가득 차 있으며 뚜렷한 한계를 가진 역사적 시스템이다. 그럼에도 그 모순과 한계를 통감하고 그것을 민주적·사회적으로 통제함으로써, 더구나 민주적 절차를 통해 그렇게 함으로써 더 나은 경제의 길로 나아갈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자본주···
- 식민지 유산이 국가형성과 민주주의 발전에 끼친 영향 종합 분석
- 보수·진보 대립적 시각 넘어 한국 민주주의의 내재적 발전론 구성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가 『식민지유산, 국가형성, 한국민주주의 1,2를 발간했다. 이 책은 새롭게 변화된 시대 상황 속에서 우리에게 식민지 유산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현대 한국사회, 특히 한국 민···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분단과 전쟁, 독재의 질곡을 거치며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격변의 소용돌이 속에 혼돈과 모색의 시기를 지나왔다. 이 같은 시기에 정치․경제․사회 등 각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룩할 수 있었던 주요한 힘은 반세기에 걸쳐 치열한 투쟁을 전개해온 민주화운동에서 나왔다.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정리하고 기록하는 것은 무엇보다 민주화운···
발간사칠흑의 어둠을 가르며 시대를 밝힌 불꽃이 있습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민주주의를 외쳤던 열사들, 폭압에 스러져간 희생자들.....우리는 그들에게서 억압을 꿇고 솟아오르는 순수하고 아름다운 영혼의 힘을 배웠습니다. 민주주의란 투쟁의 산물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떨쳐 일어나 외치며 싸울 수 있는 용기를 배웠습니다.죽음을 넘어 시대의 불꽃으로 부활한 이들이 있었···
- Korean civil society's experiences and activities aimed at building a healthy and fair election culture 건강하고 공정한 선거 문화 정착을 위한 한국 시민사회의 경험과 활동, 해외에 소개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정성헌, 이하 사업회)가 한국 민주주의운동 ···
'충북민주화운동사'는 1948년 남한 정부 수립 이후 충북 지역 민중이전개한 지난한 민주화 투쟁의 역사를 발굴하여 기록에 남기고, 이를 토대로 더 나은 민중의 미래를 위한 역사적 지혜를 도출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물이다.
'충북민주화운동사'발간 작업은 2010년과 2011년의 두 해에 걸쳐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지만, 그 연원은 2005년에 ‘민주화운동기념사업···
「한국영화와 민주주의」
기념사업회는 지난해 12월말 「한국영화와 민주주의」를 발간하였다. 기념사업회는 2010년 4월혁명 50주년을 맞아 4월혁명 기념총서로서 「4월혁명과 한국 민주주의」, 「지역에서의 4월혁명」, 「혁명과 여성」, 「한국 민주화운동의 성격과 논리」,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경제와 민주주의」, 「다시 보는 한국 민주화운동: 기원, 과정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