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이슈와 전망(Online)
-
56호 ‘민주주의 플랫폼’으로서 민주인권기념관 - ‘기념관’을 넘어 ‘플랫폼’으로
2020포스트 코로나 시대, ‘시민참여를 통한 민주주의의 확대’와 ‘디지털 혁신’이라는 두 개의 키워드는 오늘날 시민뿐만 아니라 민주인권기념관이 맞닥뜨린 과제이다. 민주인권기념관은 ‘전통적’ 기념관을 넘어 민주주의 실천 주체로서 시민의 의미를 확인하는 적극적인 공간이 되어야 한···
자세히 보기 -
55호 전태일 50주기에 돌아보는 청년노동
2020전태일 열사하면 떠오르는 것 중 하나는 ‘풀빵정신’이다. 풀빵정신이 2020년에 여전히 소중한 이유는 노동운동이 되살려야 할 초심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전태일 열사가 바보회를 결성하고,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고 외쳤던 것은 ‘우리’를 위해서 였다. 익히 알고 있듯, 재단···
자세히 보기 -
54호 대한민국 민주시민교육 상(像) 정립을 위한 제언
2020이 글은 민주주의 운영의 주체인 시민의 역량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대에 시민의 민주적 역량 강화를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상(像)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이 글은, 우리 사회의 민주시민교육 상(像)을 정립하기 위해 우선 해외사례로서 독일과 스웨···
자세히 보기 -
53호 코로나19와 민주주의의 위기
2020코로나19는 지난 8개월간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확진자와 사망자를 발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으로도 심대한 영향과 변화를 가져왔다. 이 글은 코로나19로 인해 촉발된 인종주의, 민족주의, 권위주의의 등장과 그로 인한 민주주의의 위기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자세히 보기 -
52호 민주화운동 사료수집의 현황과 과제
2020이 글은 지난 20여년 동안 민주화운동 사료를 수집, 관리하고 관련 아카이브를 운영해 온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의 사료수집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한국 현대사의 큰 축인 민주주의의 발전상을 균형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민주화운동과 관련된 주체의 기···
자세히 보기 -
51호 `진실화해법` 개정과 2기 `진실화해위`의 과제
2020「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기본법」 개정안이 6월 9일 마침내 공포되었다. 이 글에서는 1기 진실화해위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2기 진실화해위가 ‘과거사의 완전한 정리’라는 목표를 향해 앞으로 나아가려면 어떤 과제를 해결해야하며, 어떤 원칙이 필요한지 살펴보았다···
자세히 보기 -
50호 한국전쟁 70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위한 네 가지 원칙
2020올해는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0주년이 되는 해이다. 지난 수년간 비핵-평화 프로세스를 위해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협상의 교착상태, 미중갈등의 대두, 코로나 위기 등으로 인해 협상이 진전되기 어려웠다. 하지만 과거의 전쟁은 하루빨리 끝내야 한다.···
자세히 보기 -
49호 ‘5·18 세계화’는 이루어졌는가?
2020이글은 1990년대 이후 광주시민연대를 비롯한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5·18 세계화’ 활동을 성찰함으로써 40 주년을 맞이한 ‘5·18 세계화’ 활동에 대한 교훈을 얻기 위해 준비되었다. 1994년 지식인과 시민운동가가 함께 조직한 ‘광주시민연대’는 지역···
자세히 보기 -
48호 4월혁명과 지식인 여성
20204월혁명과 지식인 여성 - 반독재와 여권신장의 갈림길에서 길을 잃다 최종숙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선임연구원 4월혁명의 주체는 오랫동안 지식인 청년 '남성'의 얼굴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4월혁명에 여중···
자세히 보기 -
47호 한국여성운동의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계승할 것인가?
2020한국여성운동의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계승할 것인가? 이나영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이 글은 3·8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한국여성운동의 역사를 개괄적으로나마 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차별에 저항하는 여성들의 운동이 단순히 서구 여성의···
자세히 보기